금리가 뭐길래?
경제신문, 뉴스를 보면 자주 나오는 말
기준금리 0.25% 인상
연준이 이번년도 금리 동결하기로 했습니다!
들으면 중요한것 같은데 솔직히 아직도 모르겠다면, 이 글로 한번에 올인원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금리란? 초간단 정리
* 금리 = 돈을 빌린 대가로 내는 '이자율'
내가 은행에서 돈을 빌리면 → 금리만큼 이자를 낸다
내가 은행에 예금적금 넣으면 → 금리만큼 이자를 받는다.
기준금리란?
나라 전체의 돈 흐름을 조절하는 중심 이자율. 이는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금리로 주담대, 예금금리, 전세자금, 심지어 부동산 매매가까지 영향을 준다.
↓ 금리가 내리면?
먼저 이자가 낮아지면 부동산, 주식 투자 수요가 증가한다. 시장에 돈이 많아지면서 인플레이션 유발될 수 있음. 실제로 2018~2022 금리가 낮아지면서 부동산 가격이 엄청나게 올랐고, 주식 투자 수요도 증가했다. 이후 물가가 전반적으로 모두 올랐다. 근데 왜 월급은 그대로인가
↑ 금리가 오르면?
이자가 증가하면 23년부터의 부동산 흐름을 보면 이해하기 쉽다. 금리가 오르고 이자가 증가하면서 집 사는 수요가 현저히 줄었다. 예적금 이자 늘어나고 사람들은 소비보다 저축을 선택하게 되는 것
우리집 경제가 금리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 한눈에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보자.
※ 예적금 이자 변화
1억원을 연 3%에 넣는다면 연 이자는 300만원. 그런데 1.5%로 떨어지면 연이자는 150만원에 불과하다.
※ 이를 주택담보(주담대)에 적용해보면
5억에 3% 금리라고 할때 연이자 1,500만원. 그런데 4.5%로 금리가 오르면 연 이자는 2,250만원으로 늘어난다. (실제 5억까진 많지 않겠지만 예시니깐 -.-;)
그럼 금리가 오르면 무조건 안 좋은걸까?
그렇지 않음. 금리는 통화정책의 도구이다.
물가가 너무 오르면 금리를 올려서(인상) 소비를 줄이고, 경기가 나빠지면 금리를 내려서(인하) 투자와 소비를 늘린다. 즉 금리를 이해하면 경제 흐름이 읽히고 투자타이밍도 더 잘 잡을 수 있다.
금리를 안다는건 단순한 경제상식을 넘어 내 돈을 지키는 '경제 방패'를 가지는 것과 같다. 이제 '기준금리 인상' 뉴스가 나와도 더이상 당황하지 말자.
금리는 돈의 가격이고, 기준 금리는 금융상품의 기준이 된다. 금리를 읽으면 경제와 투자타이밍을 볼 수 있다는 점! 이 점을 꼭 기억해야 하고 경제공부에 임해보자.
'경제공부 요약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이란? 물가 상승이 내 지갑에 미치는 영향 (대처방법 3가지) (2) | 2025.04.18 |
---|---|
2025년 재테크 트렌드: 지금 주목해야 할 5가지 전략 (0) | 2025.04.18 |
경제신문, 왜 다들 보라고 할까? 일반신문과 차이 3분만에 쉽게 정리! (0) | 2025.04.17 |
경제신문 쉽게 읽는 3단계 정리법 추천, 초보자는 이렇게 보세요! (1) | 2025.04.17 |
경제공부, 지금 당장 시작할 수 있는 무료 공부법 3가지 (2)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