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 요약 정리

금리란 무엇인가? 경제 기초부터 재테크 투자까지 초간단 정리

고토실 2025. 4. 16. 13:39
반응형
금리가 뭐길래?


경제신문, 뉴스를 보면 자주 나오는 말
기준금리 0.25% 인상
연준이 이번년도 금리 동결하기로 했습니다!
 
들으면 중요한것 같은데 솔직히 아직도 모르겠다면, 이 글로 한번에 올인원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금리란? 초간단 정리

 
* 금리 = 돈을 빌린 대가로 내는 '이자율'
내가 은행에서 돈을 빌리면 → 금리만큼 이자를 낸다
내가 은행에 예금적금 넣으면 → 금리만큼 이자를 받는다.
 
 

 
 
 

기준금리란?

 
나라 전체의 돈 흐름을 조절하는 중심 이자율. 이는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금리로 주담대, 예금금리, 전세자금, 심지어 부동산 매매가까지 영향을 준다.

 
 
↓ 금리가 내리면? 
 
먼저 이자가 낮아지면 부동산, 주식 투자 수요가 증가한다. 시장에 돈이 많아지면서 인플레이션 유발될 수 있음. 실제로 2018~2022 금리가 낮아지면서 부동산 가격이 엄청나게 올랐고, 주식 투자 수요도 증가했다. 이후 물가가 전반적으로 모두 올랐다.   근데 왜 월급은 그대로인가   
 
 
  금리가 오르면? 
 
이자가 증가하면 23년부터의 부동산 흐름을 보면 이해하기 쉽다. 금리가 오르고 이자가 증가하면서 집 사는 수요가 현저히 줄었다. 예적금 이자 늘어나고 사람들은 소비보다 저축을 선택하게 되는 것
 
 

우리집 경제가 금리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 한눈에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보자. 

 
※ 예적금 이자 변화
1억원을 연 3%에 넣는다면 연 이자는 300만원. 그런데 1.5%로 떨어지면 연이자는 150만원에 불과하다.
 

 
※  이를 주택담보(주담대)에 적용해보면
5억에 3% 금리라고 할때 연이자 1,500만원. 그런데 4.5%로 금리가 오르면 연 이자는 2,250만원으로 늘어난다.  (실제 5억까진 많지 않겠지만 예시니깐 -.-;)
 
 

 

 
 
그럼 금리가 오르면 무조건 안 좋은걸까?

 
그렇지 않음. 금리는 통화정책의 도구이다.
 
물가가 너무 오르면 금리를 올려서(인상) 소비를 줄이고, 경기가 나빠지면 금리를 내려서(인하) 투자와 소비를 늘린다. 즉 금리를 이해하면 경제 흐름이 읽히고 투자타이밍도 더 잘 잡을 수 있다.
 


 
 
금리를 안다는건 단순한 경제상식을 넘어 내 돈을 지키는 '경제 방패'를 가지는 것과 같다. 이제 '기준금리 인상' 뉴스가 나와도 더이상 당황하지 말자. 
 
금리는 돈의 가격이고, 기준 금리는 금융상품의 기준이 된다. 금리를 읽으면 경제와 투자타이밍을 볼 수 있다는 점! 이 점을 꼭 기억해야 하고 경제공부에 임해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