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 요약 정리

금융 문해력이란? 모르면 손해보는 내 돈을 지키는 첫걸음 3가지

고토실 2025. 4. 21. 16:33
반응형

돈을 많이 버는것보다 더 중요한 건 무엇일까? 바로 돈을 지킬 수 있는 기본 지식을 갖추는 것이다. 이게 바로 진짜 재테크의 시작

 

자산관리를 직접 하거나 재무상담 같은 전문가 도움을 받을때에도 개인의 금융 이해정도는 큰 영향을 미친다. 

 

 

 

금융문해력이란?

 

= 돈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 능력인 '경제적 사고력' 쉽게 말해 자본주의 사회에서 내 돈을 지키고 불려갈 수 있는 힘을 말한다. 

 

수입과 지출, 돈을 관리하고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 금융상품 투자상품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고 제대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 금융사기 위험을 인지하고 피할 수 있는 능력 등 이처럼 경제적인 부분과 관련된 대부분의 것을 의미한다.

 

 

정보가 넘치는 시대
왜 금융문해력을 길러야 할까?

 

 

다양한 정보가 많지만 잘못된 가짜 정보들도 그만큼 많다. 유튜브나 블로그에서 재테크 관련 정보, SNS에 투자를 추천하는 컨텐츠들. 하지만 정작 제대로된 정보는 얼마나 될까? 전문가를 사칭하며 투자를 권유하는 경우, 주변에 투자사기로 피해를 입은 사례도 어렵지않게 볼 수 있다.

 

진짜 나에게 맞는 제대로된 정보를 고를 수 있는 능력. 금융문해력은 바로 그 역할을 한다. 실수 한번에 수백만원, 수천만원이 날아갈 수 있는 요즘같은 시대 금융문해력이 없다면 트렌드에 휩싸여 남들 따라하는 소비, 투자를 하면서 내 돈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부자들, 자산가들은 자녀 교육에서 금융지식을 갖추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런 금융지식을 갖춘 사람들은 자산을 구조화해서 굴리고 소비보다 시스템을 만들어 '내가 일하지 않는 시간에도 돈이 들어오는 구조'를 만들려고 노력한다. 

 

 

 

금융문해력 기르기 위한 3가지

 

STEP 1 수입 지출 기록하고 파악하기

내가 소비한 내용을 가계부 활용해 기록하며 돈이 들어오고 나가는 흐름을 파악한다. 한달에 돈을 어느정도 쓰는지 지출규모를 파악하여 매달 얼만큼의 종잣돈을 모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STEP 2 금융상품 이해하기

예금 적금 CMA 등 비교하고 지금 내 상황에 맞는 금융상품을 활용하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예금 적금처럼 안정적이지만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상품, 주식 펀드같이 수익을 낼 수 있는만큼 위험도, 변동성은 높은 상품도 있으므로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STEP 3 경제뉴스 경제신문 읽는 습관

기사에서 자주 나온는 경제용어 GDP CPI 금리 환율 같은 흐름을 익힌다. 처음에는 용어가 어렵고 익숙하지 않을 수 있지만 꾸준히 흐름을 읽다보면 트렌드와 경제를 파악하는 힘이 생긴다. 

 


 

 

"똑똑하게 돈을 다루는 능력을 기르자"

 

나의 금융문해력 수준은 어느정도일까? 오늘부터 돈을 공부하는 사람이 되어보자. 조금씩 수입을 늘리고 여기에 돈을 관리하는 능력까지 얻는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반응형